여태까지는 전력 사용량이 늘 이유가 없었음
- 쓰던 곳이 늘 일정
- 전력 효율이 꾸준이 상승
2024년 7월, IEA는 이례적으로 전력 수요를 상향조정
글로벌 신규 유입 에너지 대부분은 renewable
2019-25년 글로벌 발전원별 신규 유출입 규모 (Source: iM증권)
- 2019-25년 주요 지역들의 발전원별 신규 유출입 규모 (Source: iM증권)
- Renewable의 문제
- 발전 효율
- 발전 단가
- 계절성으로 인한 발전용량 변동성 & 송배전망 부하
- Duck curve (Source: iM증권)
- Nuclear는 1) SMR 상용화는 아무리 빨라도 2030년 2) 비쌈 3) 짓는데 오래 걸림
- 궁극적인 친환경이라는 의견과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sentiment가 개선된 것은 긍정적이나 먼 미래의 꿈을 너무 빨리 value에 반영한 것으로 판단됨
- 특히 SMR은 미래라면서 1) 제일 비싸고 2) 상용화도 안됨
- 원자로 유형별 건설비용 (Source: iM증권)
Natural gas 전통 에너지 중 건설 기간 가장 짧음: 태양광/풍력은 6개월-1년
전통 발전소별 평균 건설기간 (Source: iM증권)
- Upstream도 oil -> natural gas 방향 뚜렷
- 사우디 Aramco
- oil 생산량 늘리려다 철회
- 2030년까지 natural gas 현재보다 50% -> 60% 이상 증대로 상향
- Total Energies, Shell: 2030년 oil : natural gas = 1 : 1
- 사우디 Aramco
- 글로벌 오일 메이저들의 석유 및 천연가스 관련 기조 변화 (Source: iM증권)
- 2023년 에너지 산업 종사 경영진 대상 발전원별 우선순위 설문조사 (Source: iM증권)
- 2025년부터 natural gas는 구조적 공급과잉으로 돌입
- 발전 단가는 더 안올라가고
- 너무 많이 생산해서 내다 팔기까지 해야 하는데
- 수요도 충분
- 2035년까지 글로벌 LNG 목적지별 계약물량, 미국산 LNG 목적지별 계약물량, 카타르산 LNG 목적지별 계약물량 (Source: iM증권)
LNG 액화설비 투자 2020년 저점이후 계속 반등
주요 국가별 LNG 액화설비 유입 규모 추이 및 전망, 미국 LNG 수출 터미널 설비용량 추이 및 전망 (Source: iM증권)
미국은 1) natural gas 유입이 가장 많고 2) 발전원별 비중에서도 natural gas가 1등
1930년 이후 미국 에너지원별 신규 발전원 유입 (Source: iM증권)
- 미국 발전원별 비중, 2024년 에너지원별 신규 발전원 유입 규모 (Source: iM증권)
지금 계획 중인 natural gas 발전용량은 현재 발전량의 20% 수준
1H24 기준 운영 및 신규 가스발전 규모 (Source: iM증권)
Utility 업체들에 의하면 Natural gas 실수요는 이미 나타나고 있음
Kinder Morgan PNG statistics (Source: iM증권)
- EnLink Midstream 미국 발전용 천연가스 소비량 전망 (Source: iM증권)
- 2Q24 주요 midstream 업체들의 데이터센터 및 전력수요, 천연가스 발전 관련 주요 코멘트 (Source: iM증권)
- data center <-> nuclear 계약: 1) 폐쇄 원전 되살리기 2) 미래 SMR 미리 계약
- 당장 만들어야 하는 전기는 natural gas에서 감당하지 않을까
- 솔직히 data center <-> natural gas 공급계약은 뉴스로 낼 수 없다고 생각… (시대가 어느 때인데 ’우리 data center는 fossil fuel로 만든 전기 공급받아요’를 뉴스로 자랑스럽게…)
- PNG pipeline: ONEOK (OKE), Cheniere Energy (LNG)
- ONEOK는 투자할 생각 없고 전부 빚 갚고 주주환원
- ONEOK dividends and share repurchases plans (Source: iM증권)
Cheniere Energy: 미국 LNG terminal 50% 이상 점유
미국 LNG 터미널 및 터미널별 규모 추이 (Source: iM증권)
- Gas turbine: GE Vernova (GEV)
- Construction: Comfort Systems (FIX)
References
- 에너지 헤게모니 변화, 그 중심에 있는 천연가스 (2024-10-17, iM증권)
Disclaimer!
- 본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투자상품의 매수·매도·보유 등 투자 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
- 본 게시물은 작성자 개인의 판단에 근거하여 작성되었고, 작성자 본인이 속한 기관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
- 본 게시물은 작성자 본인이 작성일 시점에 신뢰할 만하다고 판단하는 자료와 정보에 근거하였으나, 정확성이나 완전성,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
- 본 게시물은 그 어떠한 경우에도 증권, 파생상품 등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투자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
- 본 게시물은 투자자의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목적의 증빙자료로도 사용될 수 없습니다
- 본 게시물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직·간접적 손실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